탐색시간의 블로그

Linux

리눅스 vi 에디터 기본 필수명령어 모음입니다.


[ 명령모드 ]


L - 화면에 마지막으로 이동

G - 파일의 끝으로 이동

u - 이전 상태로 되돌림

n - 다음 단어를 검색함

N - 이전 단어를 검색함

dd - 한 라인을 삭제함

x - 한 문자를 삭제함

i - 입력모드 전환

ctrl+f - 한 페이지 아래로 이동

ctrl+b - 한 페이지 위로 이동

/검색할내용 - 특정 단어 검색

yw - 커서가 있는 단어를 복사함

yy - 커서가 있는 라인을 복사

 

L - 화면에 마지막으로 이동

G - 파일의 끝으로 이동

u - 이전 상태로 되돌림

n - 다음 단어를 검색함

N - 이전 단어를 검색함

dd - 한 라인을 삭제함

x - 한 문자를 삭제함

i - 입력모드 전환

ctrl+f - 한 페이지 아래로 이동

ctrl+b - 한 페이지 위로 이동

/검색할내용 - 특정 단어 검색

yw - 커서가 있는 단어를 복사함

yy - 커서가 있는 라인을 복사



[ 입력모드 ]

입력모드는 i로 전환할수 있으며 수정하다 esc를 누르면 아래에 위치해있던 - INSERT - 가 사라집니다.





[ 라인모드 ]

:w - 지금까지 수정했던 정보가 저장됩니다.

:q - vi 에디터를 종료합니다.

:wq - 저장하고 바로 vi 에디터를 종료합니다.

:q! - 저장하지 않고 vi 에디터를 강제종료 합니다.



 


VI 에디터 전체 명령어



# 시작/종료 및 기타

:set number    또는 :set nu    행에 번호 부여

:set nonumber 또는 :set nonu    행에 부여된 번호 제거

:ZZ 또는 :wq    저장하고 vi 에디터 종료

:w [filename]    주어진 파일 이름으로 저장

:w! [filename]    주어진 파일 이름으로 저장/덮어쓰기 후 종료

:w!    저장후 편집종료

:q    저장하지 않고 vi 에디터 종료

:q!    저장하지 않고 vi 에디터 강제종료

:e    vi 에디터 종료하지 않고 다른 파일 편집

:e!    편집한 내용 저장하지 않고 최종 저장된 상태로 파일 열기



# 입력 편집 명령어


i    문자 앞에서부터 입력

a    현재 문자 뒤에서부터 입력
   
I    현재 라인 첫머리에서부터 입력

A    현재 라인 맨뒤에서부터 입력

o    현재라인 아래에 입력

O    행의 위에 입력

r    겹쳐쓰기(커서위치 1문자 변환)

R    현재문자 이후부터 겹쳐쓰기

s    커서가 있는 단어를 지우고 입력하기

ch    커서 바로 앞의 한글자를 여러글자로 수정하기

S    커서가 있는 행을 지우고 입력하기

cw    커서 위치의 한 단어를 수정하기

co    커서 위치부터 줄의 처음까지 수정하기

c    커서 위치부터 줄의 끝까지 수정하기

cc    커서가 있는 줄을 수정하기

cj    커서가 있는 줄과 그 다음 줄을 수정하기
   
ck    커서가 있는 줄과 그 앞줄을 수정하기



# 삭제 명령어

dw    한 단어 삭제

dd    한 라인 삭제

[number]dd    커서있는 위치에서 숫자만큼  라인 삭제

dj    커서가 있는 줄과 그 다음 줄을 삭제

dk    커서가 있는 줄과 그 앞줄을 삭제

do    커서 위치부터 줄의 처음까지 삭제

x    커서의치의 글자 삭제

D    한줄삭제
   
d$    커서 위치부터 줄의 끝까지 삭제

X    커서 바로 앞의 글자 삭제



# 치환 명령어


cw    한 단어 바꾸기(단어의 첫머리에 커서 위치해야함)



# 복사 명령어


y    문자 복사

yy    한라인 복사

yw    커서 위치부터 단어의 끝까지 복사하기

yj    커서가 있는 줄과 그 다음줄을 복사하기

yo    커서 위치부터 줄의 처음까지 복사하기
   
yk    커서가 있는 줄과 그 앞줄을 복사하기

y$    커서 위치부터 줄의 끝까지 복사하기
   
p    현재 줄 다음에 버퍼의 내용을 붙임

P    현재 줄 앞에 버퍼의 내용을 붙임



# 명령어 취소/반복


esc key  입력화면에서 빠져나옴옴

u 또는 :u    되돌리

U    그줄에 행해진 작업 모두 취소하기

.    조금전에 했던 명령 반복하기
   


# 이동 명령어


:[number]  숫자의 행으로 이동

:0    문서의 맨앞으로 이동

:$    문서의 맨뒤로 이동

l    오른쪽으로 이동

h    왼쪽으로 이동
   
j    아래로 이동

k    위로 이동
   
B    특수문자,기호제외(한단어 뒤로이동)

b    한단어 뒤로 이동

w    한단어 앞으로 이동

W    특수문자, 기호제외(한단어 앞으로 이동)

enter    다음줄의 첫글자로 이동
   
e    단어의 마지막 글자로 이동

o    라인의 시작으로 이동

E    단어의 마지막 글자로 이동하기

$    라인의 끝으로 이동

shift키와 함께 사용
   
gg    파일의 첫 행으로 이동

G    파일의 마지막 행으로 이동
   
^    라인의 첫 번째 단어로 이동

shift키와 함께 사용
   
+    다음 라인의 처음으로 이동

H    화면의 맨위로 이동
   
-    이전 라인의 처음으로 이동

M    파일의 중간으로 이동
   
[ctrl]+F    한 화면 앞으로 이동

L    화면의 끝으로 이동
   
[ctrl]+D    한 화면의 반만큼 앞으로 이동

/[text]    단어검색

/[filename]    파일검색
   
[ctrl]+B    한 화면의 뒤로 이동

[ctrl]+U    한 화면의 반만큼 뒤로 이동


Posted by 씨크타임

도움되는상식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있어 데이터의 처리속도, 저장용량 못지 않게 중요한 사항이 인터넷 전송속도입니다.

인터넷 서비스 업체에서 '100 M 광랜으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빠르게 즐길 수 있다'는 광고를 합니다.

이제는 1 GB가 넘는 고화질 영상도 10초 안에 다운 받을 수 있다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다운로드 받는데

속도가 초당 10 MB를 넘지 않습니다.


그 원인은 바로 단위 표시 방식의 차이입니다.

인터넷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bps와 B/s 두 개의 단위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bps는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최소의 단위인 bit를 기준으로,

B/s는 컴퓨터가 처리하는 정보의 기본단위 Byte를 기준으로 하여,



[ 단위 설명 ]

bps는 1초에 몇 bit의 데이터를 주고 받는지를,

B/s는 1초에 몇 byte의 데이터를 주고받는지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이 이야기하는 메가급, 기가급 속도는 모두 bps를 기준으로 홍보합니다.

우리가 실제로 다운로드 받는 P2P 서비스는 KB/s나 MB/s를 쓰고 있다.

인터넷 사업자들은 사용자가 이해가 쉬운 B/s단위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당연히 bps가 숫자가 커서 빨라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터넷 사업자들이 100 M급라고 홍보하는 인터넷 서비스 속도는 100 Mbps를 말하며 이는

최고속도가 다 나온다고 했을 때 이를 MB/s로 따지면

이론상으로 100 M보다 많이 떨어지는 12.5 MB/s가 나오게 된다.




참고로  업무상 제 PC에는 1기가 LAN 카드가 꽂혀 있는데,

단순 계산했을때  ( 1기가 bps / 8 )하면 이론상  125Mbyte / s 가 된다.

그런데, 실제로 테스트 해보니깐 손실율이 있어 그런지, 초당 90 ~ 100Mega byte  전송율이 나오네요

즉, 2기가 파일 복사하는데 20초 걸립니다. (옛날 전화선에 56Kbps 생각하면 진짜 엄청난 속도 증가네요.)

조건은, 가정집이 아닌 회사 인터넷 1G 망 이고, UTP 케이블도 category 6, 그리고 On-board 랜카드가 아닌

4만원대의 인텔 랜카드를 사용했습니다. (다운로드 90 ~100MB/s, 업로드 85 ~ 95 MB/s 나옵니다.)


Posted by 씨크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