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색시간의 블로그

도움되는상식

MAC 주소란 이란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의 약자로 컴퓨터에 장착된 랜카드(이더넷)의 주소 입니다.

다시말해, 랜카드가 제작시에 각 랜카드마다 고유 주소를 부여하게 되는데.

이것이 맥 어드레스(MAC address)입니다. 보통은 00:00:00:00:00 형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더넷 [ Ethernet ] 이란


근거리통신망(LAN)의 대표적인 통신 프로토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 통신의 대부분은 이더넷 기술. 

1973년 보브 멧칼프 박사가 처음으로 발명했고 1980년 미국의 제록스, 인텔 등이 공동 개발해 '이더넷 1세대'라는 이름으로
 
상용화. '이더넷'이라는 이름은 우주에 존재한다는 가설 속의 물질인 에테르(ether)에서 따온 것이고,
 
이더넷은 인터넷 프로토콜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해 광범위한 통신 및 컴퓨터 기기를 연결합니다.




ARP [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이란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여기서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는 이더넷 또는 토큰링의 48 비트 네트워크 카드 주소를 뜻한다.

이를테면, IP 호스트 A가 IP 호스트 B에게 IP 패킷을 전송하려고 할 때 IP 호스트 B의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를 모른다면,

AR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목적지 IP 주소 B와 브로드캐스팅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 FFFFFFFFFFFF를 가지는 ARP 패킷을

네트워크 상에 전송한다. IP 호스트 B는 자신의 IP 주소가 목적지에 있는 ARP 패킷을 수신하면

자신의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를 A에게 응답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수집된 IP 주소와 이에 해당하는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 정보는 각 IP 호스트의 ARP 캐시라 불리는 메모리

에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 다음, 패킷을 전송할 때에 다시 사용된다.


ARP와는 반대로, IP 호스트가 자신의 물리 네트워크 주소는 알지만 IP 주소를 모르는 경우,

서버로부터 IP주소를 요청하기 위해 RARP를 사용한다.

참고로 cmd 콘솔 창에

arp -a 치면 현재 MAC Address 주소와 게이트웨이 IP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ping ip주소 및 ping DNS 주소와 함께 이용하면 활용도가 높을 것 같습니다.



 

Posted by 씨크타임

복구 불가능한 영구 삭제 방법은  2가지

1. 덮어쓰기에 의한 데이터 영구 삭제 방법(일반적인 방법)
번 덮어쓰기도 사용 방법에 따라 아래와 같이 두가지로 나눠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1) PC 데이터 폐기를 위한 디스크 영구 삭제
(2) PC 사용하면서 중요한 파일 영구 삭제

(1)번의 경우 컴퓨터를 중고로 매각하거나, 폐기할 경우 컴퓨터에 연결된 하드 디스크의 모든 데이터 (OS포함)를 삭제합니다. 주로 미국방성 표준 DoD 방법에 의해 최소 3회 이상 덮어쓰기를 합니다.

(2)번은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사용자가 지정한 파일, 폴더, 드라이브를 덮어쓰기 방법에 의해 파일을 삭제하는 경우입니다. 사용자가 파일을 찾아야하기 때문에 만약에 중요한 파일인데 삭제하지 못한 파일이 남아 있으면 낭패이겠지요.

 데이터를  영구히 삭제하려면 '로우 레벨 포맷' 등의 방법을 써야 한다  이는 공장에서 PC가 출하된 상태로 초기화시켜주는 것을 말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배드섹터나 디스크 에러까지도 처음 상태로 돌려놓지만 여러 번 이를 시행하면 하드디스크 자체에 손상이 올 수도 있다.   최근 미국 유럽 등에서는 자료를 완전 삭제해 주는 프로그램이 보안을 중요시하는 정부기관, 기업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파이널데이터의 '파이널이레이저', 에스엠에스의 '블랙매직', 엠아이티의 'KD-1' 등이 대표적인 완전삭제 프로그램이다.  이들 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에 남아있는 정보를 무조건 0과 1의 무작위 조합으로 덮어 복구할 수 없게 만든다는 것이다.  강력한 자기장을 쏘아서 하드디스크의 모든 정보를 파괴하는 '디가우저'방식도 있다.



2. 디가우저 장비를 이용한 데이터 영구 삭제 방법(전문장비를 이용한 방법)

덮어쓰기에 의한 삭제의 경우 하드디스크를 재활용할 수 있으나,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컴퓨터 성능 및 삭제 프로그램에 따라 다르나 500GB 기준 1회 덮어쓰기를 할 경우 대략 1시간 20분 정도 소요됩니다.

디가우저 장비를 이용한 삭제 시간은 빠르나, 디스크를 재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디가우저 degausser 
강한 자기장으로 하드 디스크의 논리적인 모든 정보를 지우는 장비.
하드 디스크의 섹터, 트랙 등 모든 하드 디스크의 정보가 지워지기 때문에 데이터의 복구 및 유출 가능성이 없고 외형적인 손상은 없지만 하드 디스크를 재 사용할 수 없다.

영어 원어  어원 degausser   
gauss (가우스) - 자장강도의 단위 에 er 이 붙고  접두사 de 가 붙어서 
접두사 생겨  자장으로 삭제하는 것이란 의미

디가우저를 사용하는 이유

컴퓨터에 있는 자료를 지우면 우선은 휴지통으로 들어가므로 언제든 복구가 가능하다.  만일 휴지통에서도 지우면 자료는 살릴수 없는 것으로 일반인들은 알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삭제된 자료의 복구기술이 있으므로 모두 살려낼수 있다.



 

Posted by 씨크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