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색시간의 블로그

           http://www.groupon.kr



소셜커머스로 미국에서 더 유명한 그루폰이 새벽에

메가딜을 진행을 취소했다.

그루폰은 미국에서 소셜커머스 1위를 달리고 있는

업체이며, 그 성장 속도가 엄청나다.

하지만, 한국에 지사를 설립한 그루폰(Groupon) 유한회사는

아직 자리를 잡지 못하고 헛탕을 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티켓몬스터, 쿠팡 등이 많은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는 선두 그룹에 해당된다.

물론, 이들 업체에서도 종종 서비스 불만족 때문에 환불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하지만, 솔직히 그루폰은 미국에서 많은 매출을 일으키고 있으며 신생 기업이 아닌 이상 충분히 국내에서

쉽게 뿌리 내릴꺼라고 생각했다. 나는 그루폰에 대한 기대가 많았고, 실제 판매되지전 오픈 예정

홈페이지에 email를 수신동의하고,실제 구매해서 물건을 구매한 적도 있다.

그런데 사용하면서 더욱 불편하고, 문제가 많아 보인다.

시스템의 문제, 기획력의 문제, 고객응대에 대한 문제.. 그야말로, 제대로 되는게 없는것 같다.

당장 눈앞에 돈이 보이니깐 뭔가 하긴해야 겠는데, 우왕좌왕 하는 모습이다.


사실, 첫 딜(거래품목)이 뭔가 엄청난 이벤트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면서 기다렸다. 그루폰측에서도

초반에 기선을 제압하기 위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제품이나 사용권에 대해 50% 할인된 가격으로 홍보한다면

분명히 현재까지 한국에서 1, 2위 하는 업체들과 비교해서 큰 홍보 효과를 가질 것을 믿었는데,

첫날에 나온 것이라고 위지위즈(http://www.wizwid.com)라는 해외쇼핑몰

5만원권을 50% 세일해서 구매할 수 있는 쿠폰이었다.

물론, 해당 금액으로 모자란 부분은 추가로 결제해야 된다.

기대했던건 만큼 실망이 컸다. 당장 나하고 관련 없는 쿠폰인데다가, 누구에게 소개해줄 만한 쿠폰도 아닌 것이었다.


이후에 박지성 비타민 딜을 했습니다. 그때 해당 물품을 구매했는데, 쿠폰(상품)번호를 주면서 이걸 결제하면

비타민하우스에서 팔고 있는 비타민3통을 보내주는 딜이었는데, 막상 구매 완료하고 나니깐 비타민하우스라는

사이트에 가서 가입하고 해당 쿠폰으로 구매를 해야 하는건지, 그냥 가만히 있으면 그루폰에서 보내주는 건지..
 
애매하게 해뒀더군요.

처음엔 비타민하우스 가입하고, 해당 품목 장바구니에 넣어 결재방식을 쿠폰을 찾아봐도 나온지 않고 도무지 모르겠던데

1:1문의를 보니깐 30명 아니 그보다 휠씬 많은 사람들이 똑같은 질문을 하고 있더군요. 그냥 기다리면 보내주는 건지,

비타민 하우스에 가입해서 결제해야 하는건지... 참 하는꼬라지가.. 엉망이더군요.


종종 이런 페이지도 보인다. 'Opps 이럴리가 없는데' 라는 에러창 . 또한 정보 수정을 통해 매일 아침마다

보내주는 메일 받지 않겠다고 정보 변경을 해도 계속 보내주더군요.

(아마, 처음 오픈전에 메일 등록 부분과 가입시 등록해둔 메일이 별도 관리해서 그런지도).

그래서 홈페이지 문의란을 통해서 정보수정을 통해 메일을 보내지 말라고 했는데도 계속 메일이

온다고 문의하니깐, 답변 내용이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해당 내용은 담당부서로 넘겨서 곧 처리 될거라고요.'

몇일 뒤에 처리 되었다는 내용도 없이, 그냥 메일이 안오더군요. 하여튼 맘에 안듭니다.


오늘 아침 출근하는데, 와이프가 어제 그루폰에서 파리바게트 3천원 무료 행사 쿠폰하던데.. 기다리다가 잠이 와서

그냥 잤다고 아쉬워 하더군요. 그런데 오늘 아침에 보니깐 그 행사가 취소 되었다고 하네요.

뉴스 통해 보니깐 이상한 변명을 하고 있더군요. 만약에 밤새 기다리고 있었던 소비자라면 얼마나 짜증났을까

쉽네요. 



그루폰, 좀 똑바로 하세요!.


한가지 더 4월중에 안드로이드/아이폰 어플을 개발해 내놓는 다더만..

http://www.groupon.kr/app/aboutMobile 홈페이지에 보면 4월 중 서비스 오픈 예정라고 되어있네요.)

- 오픈이 되었으면 오픈되었다. 연기 되었으면 연기 되었다라고 공지 해야지.. 5월 3일 현재 저 모습입니다.)


- 5월 18일 현재 해당 페이지는 바뀌어 있습니다.  http://www.groupon.kr/app/aboutMobile

(대략 5월 13일 경 바뀐듯.. 그루폰 어플 등록일이 5월 13일 되어 있군요)



 

국내 그루폰이 지사를 설립하다고 할대는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통해 미국 1위 소셜커머스 업체가 온다.

처음이니깐 좋은 상품, 할인폭 큰 상품이 나올수 있다고 소개 했던

제가, 이제 그루폰 안티로 스스히 돌아서고 있는 중입니다.

Posted by 씨크타임


nslookup 명령은 콘솔(윈도우즈 도스실행창 cmd)에서 인터넷 도메인 이름 서버를 조회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nslookup 프로그램은 인터넷 도메인 네임 서버(DNS Server)에게  특정 호스트에 대한 정보(호스트 네임과 IP Address)를

문의하는 대화식 프로그램입니다.  


호스트 이름으로

IP 주소를 알려고 할 경우나 IP 주소를 알고 있는데

호스트 이름을 모를 경우 사용된다.

명령어선상에서 사용할 때의 그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법:

nslookup [ -opt ] [ host | - ] [ server ]
레코드의 종류
레코드 세 설 명
NS 도메인의 네임서버 정보
MX 도메인의 MX(Mail Exchanger) 서버
A 호스트의 IP주소
CNAME 별칭으로 부여된 canonical name
SOA 도메인의 start-of-authority정보
HINFO 호스트의 CPU 정보와 운영체제 정보
MINFO 메일박스와 메일 리스트 정보
PTR IP주소에 대한 호스트명
TXT 호스트에 대한 텍스트 정보
UNIFO 사용자 정보
ANY 호스트에 관련된 모든 레크드들의 정보


1. nslookup www.chosun.com
2. nslookup -querytype=mx nate.com
3. nslookup -querytype=HINFO www.daum.net
4. nslookup -querytype=CNAME www.joins.com ns4.epidc.co.kr

덧붙여 간단히 -querytype을 -q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nslookup -q=mx nate.com
 nslookup -q=HINFO www.daum.net
 nslookup -q=CNAME www.joins.com ns4.epidc.co.kr
 nslookup -type=ns naver.com
 nslookup www.joins.com ns4.epidc.co.kr
                 도메인명             DNS 서버


** MX = Mail eXchanger
** CNAME = Canonical NAME
** SOA = Start Of Authority
** HINFO = Host INFOmation
** PTR = Pointer




실제 실행을 해본 모습입니다.

 

 

                                                            (네이버 IP가 출력됩니다.)
                          

 

 

                           (nate, naver의 MX 레코드 값과 네임서버 정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daum.net의 HINFO를 출력하는 모습니다.)

                                        (nate.com의 CNAME 값을 출력하는 모습니다.)

 

 

네이버는 어떤 DNS 서버를 사용하지 확인해보면

 

nslookup -type=ns naver.com

 

네이버는 자체 DNS로 ns1.naver.com 과 ns2.naver.com로 사용


참고적으로  위에 출력된 내용을 확인해보면, (nate.com 참고)

- serial, refresh, retry, expire, minimum 값들은 모두 secondary 네임서버와 primary네임서버와의 연동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설정부분입니다.

serial : 정해진 형식은 없지만 거의 대부분 “YYYYMMDDNN”과 같은 형식을 사용합니다.1차 네임서버 해당 도메인 ZONE파일을 변경 및 추가할 때마다 serial값을 올려주게 됩니다. 그러면 2차네임서버의 serial값보다 1차네임서버의 serial값이 크기 때문에 2차네임서버에서는 해당 도메인이 변경된 것으로 인식하고 기조의 zone파일을 새로운 zone파일로 업그레이드합니다.

refresh : 2차 네임서버에서는 1차네임서버의 변경된 값들이 있는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게 됩니다.. 이 때에 체크할 주기를 결정한 값이 refresh 값이다. 즉 위의 경우 3600, 1H(1시간)에 한 번씩 위의 serial값을 체크하여 도메인의 변경유무를 체크합니다.


retry : 2차 네임서버에서 2차네임서버로의 접근이 안될 경우에 2차 네임서버는 계속적으로 접근을 시도 하는데 이 경우 얼마에 한 번씩 접근시도를 한 것인가를 나타내주는 값이다. 위의 경우 1200, 20M(20)마다 한 번씩 시도합니다.


expire : 
특정도메인의 정보를 가져오기 위하여 2차 네임서버는 1차 네임서버에 연결을 바로 위에서 설정한 retry 주기마다 시도하는데 이 경우 얼마 동안 연결을 시도할 것인가를 나타내 주는 값이다. 위의 경우 2w동안 동안 시도합니다.


default TTL(=minimum) :  이 값은 Minimum항목에 설정되어 있는 값과 의미가 같은 것이다. nate.com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다른 네임서버에서 가져간 다음 가져간 네임서버에 얼마나 보관할 것인가를 지정한 것이다. 위의 경우 600(10분)로 설정되어있으므로 이 정보를 가져간 네임서버에서는 가져간 후로부터 600초동안에는 다시 질의하지 않고 캐시에 저장된 그 값으로 계속 서비스 한다. 흔히 IP주소를 변경하였을 경우에 실시간으로 바뀌지 않고 나중에 바뀐 IP주소를 인식하게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같이 읽어두면 좋은 포스트

 

1. 2018년 미국 공휴일 안내

2. 장판 염색약 지우기

3. 미국구글 바로가기

4. 하드 캐리 뜻

5. 스라벨 뜻

 

Posted by 씨크타임